KUBECTL 3

원격 EKS 접속 환경 설정

원격 EKS 클러스터에 접속 가능하도록 로컬에 kubectl 환경을 세팅하는 방법을 공유한다. TL;DR . eks 접속 용 aws credential 정보 등록 . aws 계정에 따라 접속 가능한 eks가 다르다. . kubectl config 파일(~/.kube/config) eks 정보 등록 . 필요한 경우 원격 eks의 configmap/aws-auth에 aws 계정 정보를 등록한다. 간략하게 그림으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AWS Credential 정보 등록 eks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로컬에 aws 계정 정보가 필요하다. 로컬에 awscli를 설치하여 해당 정보를 등록한다. awscli 설치 최신 버전의 AWS CLI 설치 또는 업데이트 - AWS Command Line Interface 이전..

파이썬으로 여러 쿠버네티스의 클러스터 정보 가져오기

10개 클러스터를 운영하니 각각의 클러스터 버전을 체크하는 것도 일이다. 버전 정보야 간단히 shell로 가능한데 이번에는 파이썬 코드를 짜 보았다. 나는 시스템 운영자 출신이라 코딩은 손놓고 20년 살았다. 최근에 오래된 로그를 삭제하는 파이썬 코드를 고마운 팀분의 도움으로 작성했다. 안 잃어버릴 겸 해서 이번에도 익숙한 스크립트 대신 파이썬으로 만들었다. 아마도 허접한 코드일 것 같은데, 누군가에게는 도움이 될까 창피함을 무릅쓰고 공개한다. # Need an aws_profile to access EKS # Need kubectl, kubectl ctx tool import os import json # Print each EKS version & total number of nodes def pri..

03. Kube 교육 - PC 환경 설정

실습 VS Code 들여쓰기/주석처리 단축키, Compare File 기능 등 WSL + Window Terminal 가로/세로 화면 분할 단축키 Kubectl 명령어 Alias 설정 Why PC 환경 설정 아마 대부분의 운영자 분들이 이미 잘하고 계시겠지만 일부 운영자들은 아직 Kube 작업을 기존 VM처럼 서버에 직접 접속해서 Kubectl 명령어를 내립니다. Kube는 모든 작업이 API Server 통신이라 자기 PC에서 원격 클러스터 제어가 가능합니다. (Ansible도 동일하죠. 서버 관련 모든 작업을 자기 PC에서 수행합니다.) 물론 각 사용자 별 적절한 권한 설정은 필요합니다. 따라서 작업을 빠르게 수행하기 위해서 개인 PC 세팅을 최적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외로 운영자 분들 중 아직도..